사단법인 희망조약돌
마이페이지
나눔신청,물품나눔
기부복지뉴스
[고령사회로 접어든 대한민국] 서울 노인 절반 이상 “ 노후 빈곤, 고독사 고민.. 남의 일 아니다”
2019.01.16

본문

 
[고령사회로 접어든 대한민국] 서울 노인 절반 이상 “ 노후 빈곤, 고독사 고민.. 남의 일 아니다”
  • 임병용 기자
  • 승인 2019.01.14 08:45
  • 수정 2019.01.14 08:49
  • 댓글 0

 

95156_82285_3812.jpg
서울에 사는 노인 절반 이상은 고독사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에 사는 65세 이상 노인이 생각하는 노인 기준 연령은 평균 72.5세로 집계됐다.

노인 다섯 명 중 한 명은 자신이 고독사할 가능성이 비교적 높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노인복지법의 기준연령인 65세보다 7살 이상 높은 것. 특히 10명 중 4명은 노인 기준 연령이 75세 이상이라고 답했다.

서울시가 지난해 8일 발표한 ‘2018 서울시 노인실태조사’ 결과를 보면, 65세 이상 서울 시민 절반 이상(61.7%)이 혼자 살거나(22.4%) 노인끼리(39.3%) 사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65세 이상 서울시민 3천여 명을 대상으로 노인의 삶을 전반적으로 조사하는 '2018 서울시 노인실태조사'를 벌인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발표했다. 독거·노인가구에 속한 이들 가운데 배우자나 자녀로부터 돌봄을 받고 있다고 응답한 사람은 10.3%에 그쳤다.

돌봐주는 사람 없이 집에서 혼자 사망할 가능성이 있다고 답한 사람은 52.2%로 절반을 넘었다. 조사결과, 건강과 경제, 사회·여가·문화 활동, 주거 등 삶의 만족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4점으로, 2012년 3점에 비해 전반적으로 상승했다. 고독사 가능성이 높다고 응답한 사람은 18.4%였다. ‘매우 높다’고 응답한 사람도 4.0%에 달했다. 2년 전 조사와 비교하면 고독사를 걱정하는 사람 비율은 소폭 떨어졌다.

독거·노인가구에 속한 사람 34.6%는 육체적·정신적으로 허약해 관리가 필요한 ‘허약집단’으로 분류됐다. 주거상태에 대한 만족도가 3.5점으로 가장 높았고, 건강상태와 사회·여가·문화활동은 3.2점, 경제상태에 대한 만족도는 2.9점으로 가장 낮았다. 서울시는 올해 처음으로 TIF 허약척도로 노인의 육체적·정신적 건강도를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독거·노인가구 구성원 대부분(86.3%)은 지금 살고 있는 집에서 앞으로도 계속 살고 싶다고 답했다. 서울에 사는 노인 10명 중 6명은 독거 또는 65세 이상 노인들끼리 함께 사는 것으로 나타났다.

살고 있는 지역사회에 가장 부족한 것으로는 녹지공간과 공원(전체 응답자의 30.7%)을 가장 많이 꼽았고, 다음은 사회복지 시설(29.8%), 편의시설(26.1%), 대중교통(22.1%), 의료시설(18.2%) 순으로 응답률이 높았다. 독거나 노인 가구에 속한 이들 중 10%는 배우자나 자녀로부터 돌봄을 받고 있고, 8%는 직계가족에게 수발이나 육아 등 돌봄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95156_82286_3832.png
※자료 : 2018 서울통계연보 65세 이상 노인은 전년보다 4.9%가 증가한 136만5천명이었다. 이는 서울시 전체 인구의 13.5%에 해당한다. 65세 이상 인구가 7% 이상이면 '고령화 사회', 14% 이상이면 '고령사회', 20% 이상이면 '초고령사회'로 분류된다. 현 속도로 볼 때 서울은 2018년 고령사회에 진입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노인 5명 중 1명꼴인 30만4천명은 독거노인이었다. 독거노인 중 약 7만9천명은 기초생활 수급권자이거나 저소득층이다. 15∼64세 생산가능 인구 100명이 부양할 노인이 2012년 13.9명에서 지난해 17.9명으로 4명 늘어나는 등 저출산·고령화의 부담은 갈수록 무거워지고 있다. 서울시 총인구는 지난해 1천12만4천579명이었다. 2010년 1천57만5천447명 이후 7년 연속 감소세다. 2010년 38.2세였던 서울시민 평균연령은 지난해 41.6세까지 올라갔다. [표] 서울시 평균연령 및 연령대별 인구구성비

일을 계속 하고 싶다는 사람은 전체 응답자의 37.1%로, 노인 열 명 가운데 네 명은 여전히 근로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일을 하고 있는 사람은 전체의 35.1%로, 이들은 월 평균 153만6000원을 벌고 있다고 응답했다. 이는 2년 전(128만5000원) 25만1000원 높아진 금액이다. 노인들이 종사하는 분야는 단순노무직(34.4%), 판매(25.8%), 서비스(25.1%), 기능직(9.7%) 등이 주를 이뤘다. 이와함께 서울시 거주 노인 중 35%는 일을 하고 있으며, 주로 단순 노무직과 판매직, 서비스직에 종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 연령에 대한 기준은 점점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1년 동안 서울시 노인이 여가를 위해 가장 많이 이용한 곳은 야외 공간과 종교시설, 복지관 등이며, 물리적 환경 정비에 대한 욕구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75세 이상은 되어야 노인’이라고 여기는 사람 비율이 확연이 높아졌다.

 

95156_82287_405.jpg
보고서에 따르면 우선 노인 응답자의 26%가 65세 이후 ‘죽고 싶다’는 생각을 해본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2015년 기준 65세 이상 노인의 자살사망률(10만명당 자살자 수)은 58.6명으로 전체 자살사망률 26.5명의 두 배가 넘었다. 나이가 들수록 비율이 높아지는데 80세 이상은 83.7명이나 된다.

2년 전 조사에서는 노인 기준이 70~74세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62.1%였는데, 지난해 조사에서는 이 비율이 46%까지 떨어지고 75세 이상이라는 응답이 뚜렷이 높아졌다. 또 서울시 노인은 평균 1.8개의 만성질환을 앓고 있으며, 응답자의 13.7%가 우울 증상을 나타냈습니다. 우을증상을 나타내는 노인들은 80세 이상, 무학, 독거, 월평균 가구소득 100만원 미만이 많았다. 서울시는 인구 고령화에 따른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2012년 이후 2년마다 노인실태를 조사하고 있다.

 

출처 : 뉴스프리존

<
목록
>